-
fatal error C1083: Cannot open include file: 'MNN_generated.h': No such file or directory(feat. MNN)Development/ETC. 2020. 7. 1. 11:05
https://gamechangers.tistory.com/110
cl.exe is not able to compile a simple test program(feat. MNN Demo)
https://www.yuque.com/mnn/en/demo_project Demo Project · 语雀 1. Compilation1.1 Linux / M... www.yuque.com MNN Demo를 위하여 진행하던 도중 윈도우에서 에러를 만났다. ( 명령을 실행하기 전에 Path\Visu..
gamechangers.tistory.com
"Path\Microsoft Visual Studio 12.0\VC\bin\cl.exe" is not able to compile a simple test program 문제를 해결하였더니 새로운 문제가 발생했다.
MNN_generated.h 파일이 없다네... 윈도우에 대한 배려가 없다고 생각했는데...?
https://github.com/alibaba/MNN/issues/186
编译MNN出错 · Issue #186 · alibaba/MNN
/wuxl/MNN/source/core/Backend.cpp:12:27: fatal error: MNN_generated.h: No such file or directory 请问大佬怎么解决 @ @nihui @llhe @intheway @li-qing @80945
github.com
위의 내용을 보아하니 윈도우만의 문제는 아닌거 같고 리눅스에서는 MNN\schema\generate.sh를 실행시키면 생기는듯 하다.
마침 MNN\schema\generate.ps1 파일이 있길래 윈도우 파워쉘로 실행하면 될 것 같아서 파워쉘에서 실행해 보았으나 파워쉘에선 "Path\Microsoft Visual Studio 12.0\VC\bin\cl.exe" is not able to compile a simple test program 문제가 vcvarsall.bat 파일 실행으로 해결이 안된다.( 어쨋든 에러 났다는 말 )
그리하여 cmd에서 powershell을 실행하는 것으로 진행
warning C4819: The file contains a character that cannot be represented in the current code page (949). Save the file in Unicode format to prevent data loss라는 메시지가 여러번 뜨긴 했지만 어쨋든 done!
그리하여 다시 MNN\build 디렉터리로 이동 후 nmake를 실행.
????? 다시 에러 잡으러...
'Development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의 차이점을 아시나요? (0) 2020.10.24 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0) 2020.09.10 cl.exe is not able to compile a simple test program(feat. MNN Demo) (0) 2020.06.30 opencv_world430d.dll이(가) 없어 코드 실행을 진행할 수 없습니다.(opencv_world430d.dll was not found) (2) 2020.06.13 푸시메세지 발송을 위한 FCM 프로잭트 추가 및 App 등록 방법 (0) 2020.02.15 댓글